일본 워홀 집찾기편

[2025년판] 일본 집찾기 교과서 | 매물검색부터 계약절차까지

2023年4月12日

김한수君
김한수君

일본에서 살 집을 찾고 싶어...

안녕하세요. 바나나워홀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일본에서 집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
집은 어떻게 찾아야 할까?

우선, 일본 집찾기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.

일본 집찾기 총정리

  • 집은 어떻게 찾아야 할까?
    • 방법①: 집찾기 사이트에서 직접 검색 (스모, 홈즈, 앳홈, Best-Estate 등)
    • 방법②: 부동산 중개업체에 의뢰
  • 집찾기 사이트
  • 집은 언제부터 찾아야 할까?
    • 매물 검색은 입주 2~3개월 전부터
    • 부동산 업체에 문의는 입주 30~45일 전부터
  • 부동산 계약 비용은 얼마?
    • 보통 월세 4~5개월분이 일반적
    • 소독비용, 24시간 서포트, 클리닝 비용 이중청구 등 불필요한 초기비용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할 것
  • 부동산 피해 자주 발생
    • 일본에서는 「부동산 = 千三つ屋(천개의 말 중 진실은 3개)」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악덕 업체가 수없이 존재
    • 일본 부동산 피해 사례 모음」을 참고하여 피해를 방지할 것

자세히 알아봅시다.

리조트바이트 다이브
  • 일본 호텔 숙식알바 「리조바
  • 월세・식비 무료! 한국에서도 면접 가능!
  • 친구초대로 일을 구하면 20,000엔 보너스 지급!

집찾기 사이트

일본 집찾기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일본 집찾기 사이트

일본어가 가능하다면 「스모」를, 불가능하다면 「Best-Estate.jp(아주르)」를 추천합니다.

자세한 내용은 '일본 부동산 사이트 총정리'를 확인해 주세요.

조건 정하기

다음으로 월세, 지역 등 조건에 대해 알아봅시다.

지역별 원룸 평균 월세

  • 지역별 원룸 평균 월세
    • 도쿄: 71,778엔
    • 카나가와: 59,958엔
    • 치바: 54,026엔
    • 사이타마: 55,522엔
    • 오사카: 57,542엔
    • 아이치: 52,335엔
    • 후쿠오카: 52,230엔
    • 오키나와: 46,765엔
    • 홋카이도: 45,094엔
    • 전국평균: 52,534엔
    • 관련글: 「일본 원룸 월세 총정리|전국 평균은 52,534엔

초기비용

  • 월세의 4~5개월분이 일반적
  • 다만, 중개수수료 할인, 프리렌트, 시키킹 레이킹이 없는 경우 월세 1~2개월 분으로 입주 가능한 경우도 있음
  • 일반적인 초기비용 내역:
    • 첫 월세: 월세 1개월분
    • 일할 월세: 월세 0~1개월분
    • 시키킹: 월세 1개월분
    • 중개수수료: 월세 1개월분
    • 화재보험료: 1.5만엔
    • 열쇠 교환비용: 1.5만엔
    • 하우스클리닝: 3만엔
    • 합계: 월세 3~4개월분 + 6만엔
  • 소독비용, 24시간 서포트 등 불필요한 초기비용이 청구되어 월세의 5개월분이 넘는 초기비용을 내는 경우가 많음. 주의할 것
  • 관련글: 「일본 원룸 초기비용 총정리 | 월세 4~5개월분이 평균

지역 정하기

건축년수

도시가스 vs 프로판가스

일본 방구조

일본의 건축구조

일본의 바닥재

집 방향 (동서남북향)

피해야할 원룸 특징

부동산 업체 고르기

다음으로 부동산 업체 고르기에 대해 알아봅시다.

일본에는 악덕 부동산이 많으므로 신중하게 고르도록 합시다.

부동산 고르기 팁

  • 안 좋은 후기도 찾아볼 것: 네이버 블로그 등 '내돈내산'이라며 좋은 후기만 있는 듯 하지만, 잘 검색해 보면 안 좋은 후기가 많이 보이는 부동산이 있으니 주의할 것. (예: 환불, 가계약금, 취소, 협박, 태도 등)
  • 가계약금 주의: 일본 임대 부동산에서 가계약금을 받는 것은 정상적인 행위는 아님. 그러나 한국인 대상으로 가계약금을 받고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환불을 미루는 피해가 자주 발생. 되도록 가계약금을 받는 부동산은 피할 것.
  • 중개수수료 0엔 주의: 일본에서는 이미 유명한 수법. 중개수수료 무료라고 광고하며 소독비용, 24시간 서포트 등 불필요한 비용을 추가하거나, 클리닝비용 이중청구, 초기비용 내역을 안 보여주고 계약 직전 불필요한 요금이 청구된 계약서 제시 등 다양한 방법으로 비용을 추가.
  • 최소한 3곳의 중개회사에 견적 문의: 부동산마다 초기비용이 다름. 최소 3곳의 중개회사에 초기비용 견적을 받아보고 계약할 것.
  • 추천글: 「일본 부동산 피해사례 모음

한국어 가능 부동산 목록

리조트바이트 다이브
  • 일본 호텔 숙식알바 「리조바
  • 월세・식비 무료! 한국에서도 면접 가능!
  • 친구초대로 일을 구하면 20,000엔 보너스 지급!

계약 절차

다음으로 일본 임대부동산 계약 절차에 대해 알아봅시다.

일본 부동산 계약 절차

  • 부동산에 문의하기
    • 입주 45~30일 전 즈음 부동산에 문의합니다.
    • 초기비용 바가지가 많으므로 최소한 3곳의 부동산에 문의합시다.
  • 내견
    • 다음으로 집을 실제로 확인하는 '내견'을 실시합니다.
    • 한국에 있는 경우 온라인으로 내견이 가능합니다.
    • 부동산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인 '내견'을 거부하는 부동산은 계약 후에도 대응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합시다.
    • 내견 후 계약을 독촉하는 경우가 많으나, 집이 마음에 들어도 '일단 생각해 보고 내일 연락 주겠다'고 거절하도록 합시다.
  • 초기비용 견적 및 내역 받기
    • 집이 마음에 들었다면 초기비용 견적을 받습니다.
    • 초기비용의 적정가격은 월세의 4~5개월분입니다.
    • 초기비용 내역을 안 알려주고 '대충 얼마얼마입니다'라고만 설명 받고, 계약 직전 확인해 보니 불필요한 비용이 청구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반드시 어떤 내용으로 비용이 청구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대로된 견적을 받도록 합시다.
    • 반복하여 말하지만 '초기비용 견적은 최소 3곳의 부동산에서' 받도록 합시다.
  • 입주신청・심사
    • 내견도 ok, 초기비용도 ok라면 입주신청을 합니다.
    • 심사는 보통 1주일, 시간이 걸리면 2주까지 소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
    • 입주심사 시 '일본 거주 긴급연락처'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일본에 지인이 있다면 지인에게, 없다면 '네이버카페 - 바나나워홀' 등 한인 커뮤니티에 도움을 요청합시다.
  • 중요사항 설명・계약서 사인
    • 입주심사가 완료되었다면 정식 면허를 가진 탁켄시(宅地建物取引士)에게 중요사항 설명을 받습니다.
    • 이 때, 입주자가 알아야 할 중요한 설명을 실시하며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경우 입주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계약서에 서명한 후에는 취소가 어려우므로 잘 생각하고 계약서에 사인하도록 합시다.
  • 초기비용 입금
    • 마지막으로 초기비용을 계약서 사인 후 입금합니다.
    • 원칙적으로는 「계약서 사인 → 입금」 순서이나, 편의상 초기비용 입금을 먼저 진행하고 중요사항 설명 및 계약서 사인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• 초기비용을 법인 계좌가 아닌 개인계좌로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는 말도 안되는 행위이며, 부동산 피해 발생 시 보상을 받기 어려우므로 절대로 입금하지 맙시다.

집찾기 체크리스트

마지막으로 집찾기 체크리스트에 대해 알아봅시다.

일본 집찾기 체크리스트

  • 매물조건
    • 역까지 도보 15분 이내인지 확인
    • 집 주변에 선로가 있는지 확인 (소음문제)
    • 집 주변에 경찰서, 소방서가 있는지 확인 (소음문제)
    • 집 주변 치안은 확인
    • 학교, 유치원이 근처에 있는지 확인 (소음문제)
    • 1층에 음식점, 편의점이 있는 건물인지 확인 (바퀴벌레 문제)
    • 목조건물은 2000년 이후에 지어진 건물인지 확인 (내진문제)
    • 도시가스인지 확인 (프로판가스는 요금이 1.5~2배 비쌈)
    • 북향이 아닌지 확인 (곰팡이 문제)
    • 해약금 발생 기준이 1년인지 2년인지 확인
  • 부동산 고르기
    • 내견 꼭 하기 (내견을 하지 않아 발생하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꼭 내견을 합시다.)
    • 최소 3곳의 부동산에 초기비용 견적을 요청
    • 초기비용이 월세 5개월분 이하인지 확인 (5개월분도 비싼 편입니다.)
    • 가계약금 요구하는 부동산 피하기
    • 개인계좌로 입금을 요구하는 부동산 피하기
    • 클리닝비용을 입주시・퇴거시 이중청구 하는 곳은 피하기
    • 중개수수료 1개월분을 설명없이 청구하는 곳은 피하기 (☕[부동산 피해 사례] 동의없이 중개수수료 월세 1.1개월분 청구)
    • 중개수수료 외 사무수수료를 청구하는 곳은 피하기

마치며

이번 글에서는 일본에서 집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이제 아래의 글들을 천천히 읽어가며 자신에게 맞는 집을 찾아봅시다!

-일본 워홀 집찾기편